홍보전문가
출연연은 과학기술자 중심의 조직으로, 對국민 홍보 및 언론에 대한 대응이 미숙하므로, 對언론, 對국민 홍보시스템의 점검 및 개선책 마련이 필요합니다. 즉, 출연연의 경우 광고가 필요한 것이 아닌 홍보나 위기관리가 필요합니다.그 렇기에 본 대학원 홍보 전문가 과정은 출연연의 연구 성과를 알리고 과학자의 연구업적을 홍보하는 것도 필요하지만, 진정한 과학기술 홍보는 국민이 합리적인 사고방식으로 접근해 과학기술을 파악하고 선택할 수 있도록 돕는 행위이기에 PR은 지속적이고 일관성 있게 유지하는 커뮤니케이션 임을 인식해야 하며, 조직의 위기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위기관리 커뮤니케이션 능력, 선제적 쟁점관리(Issue Management) 능력을 키울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습니다.
교육과정 내용(교과 시수에 따라 조율)
- 1.공중관계(PR)이란 무엇인가
- 2. PR의 역사
- 3. CPR과 MPR
- 4. 과학기술단체와 PR
- 5. PR의 대상
- 6. PR메시지 전략
- 7. PR매체
- 8. PR캠페인 기확과 실행
- 9. 퍼블리시티와 언론관계
- 10. 기자회견, 보도자료작성법
- 11. 위기관리와 쟁점관리
- 12. 위기관리 커뮤니케이션
- 13. 소셜미디어와 PR
- 14. PR과 공공 정책
- 15. 광고와 프로모션
- 16. 문화콘텐츠와 홍보
- 17. 사회마케팅과 대의명분 마케팅
- 18. 메세나 활동과 사회환원
- 19. 기업평판과 명성관리
- 20. 로비와 여론 조성
- 21. 국제 PR
- 22. 바이럴과 구전 마케팅
- 23. PR전문가와 위기관리전문가
- 24. PR과 윤리
- 25. 언론법제
강사 풀
- 마정미 교수· 한남대 정치언론국제학과
- 신호창 교수· 서강대 커뮤니케이션 학부
- 김찬석 교수· 청주대 광고홍보학과
- 김주호 제일기획 마스터
- 차희원 교수· 이화여대 언론홍보영상학부
- 문철수 교수· 한신대 광고홍보학과
- 장우성 한국방송광고공사 연구원
- 신일기 교수· 인천가톨릭대학교 문화예술콘텐츠학과 등